2010년 4월 30일 금요일

linux samba 설치하기



리눅스 페도라를 사용하여 삼바 서버를 설치한다.

1. 설치 확인하기
    - rpm -qa samba
      아무런 결과도 없으면 설치되지 않은 것임

2. 설치하기
    - yum -y install samba samba-swat samba_config_samba samba-client samba-common
    자동적으로 설치해 준다.
    당연히 리눅스에서 인터넷이 연결되어야 한다.
    삼바에 필요한 모듈을 모두 설치 한다.
    시간이 좀 걸리므로 술한잔 하시고 오시면 설치가 완료되어 있을 겁니다.^^
    Complete!가 맨 끝줄에 나오면 성공

3. 환경파일
   - etc/bashrc   : 전체적으로 적용되는 파일
   - etc/profile
   - 설정파일 : /etc/samba/smb.conf
[설명]  workgroup = MYGROUP
           server starting =  Samba Server
           security = share <---------- user, server가 있음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share : 개나 소 모두 접근 가능 =>일단 이걸로 합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user : 삼바에서 제공하는 user,password를 이용

[공유] smb.conf파일을 맨 아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한다.
         [homes]    <----공유이름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comment = "test"    <--- windows에서 보여질 폴더이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path = /homepage  <--- 실제 공유할 디렉토리

4. 삼바의 실행
   - /etc/init.d/smb -restart

5. 보안의 설정
   - samba 서버의 보안을 해제한다.
     (system-config-securitylevel을 이용)
  
6. 테스트(공유를 걸지 않은 상태임)
    1) windows에서 시작->실행 -> //Linux IP로 공유파일을 확인한다.
        [힌트] windows에서 하다 연결이 안되면 안되는 이유가 많으므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먼저 localhost에서 sambaclient로 리스트를 확인해 본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smbclient -L //192.168.0.4 -N
6.1 삼바 사용자 비밀번호 추가
     smbpasswd -a fedora    <---- fedora는 이미 linux에 등록되어 있는 user name 이여야 합니다.

7. Linux에서 Windows 공유 접근하기
   1) 리스트 확인하기
        smbclient -L //XP_IP -N
   2) 접근하기
        smbclient //XP_IP/공유폴더명 -U administrator
   3) mount하기
        mount.cifs //XP_IP/공유명  /mnt/xp user=administrator, pass=####
        => 당근으로 /mnt/xp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...   뭔말인지 알져?
8. 사용자 제한
   /etc/samba/smb.conf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

참고: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